# started 2014-09-02T08:19:11Z "지구과학(地球科學)은 지구를 대상으로 연구하는 학문들을 묶어 부르는 이름이다. 일반적으로 지구과학으로 불리는 학문들은 대기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대상으로 하는 기상학, 지구 표면의 물질을 주로 대상으로 하는 지질학, 바다 현상을 대상으로 하는 해양학, 지구의 깊은 속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대상으로 하는 지구물리학 등이 있다. 보통 대한민국에서는 천문학도 지구과학에 포함된다.지구과학에는 많은 전문 분야가 포괄되지만 대체로 여섯 가지로 나뉜다. 지표면과 지표면 위에 있는 물과 공기 연구 지구의 조성에 대한 연구 지형 연구 지구의 역사에 관련된 연구 외계의 지질 연구 응용 분야"@ko . "가위는 종이 등을 쉽게 자를 수 있게 하는 도구이다. 플라스틱 판이나 얇은 철판을 자를 때 쓰이고, 머리카락을 자를 때도 쓴다."@ko . "프로젝트 구텐베르크(Project Gutenberg)는 인류의 자료를 모아서 전자정보로 저장하고 배포하는 프로젝트로, 1971년 미국인 마이클 하트(Michael Hart)가 시작했다.인쇄술을 발명하여 지식의 전달을 급속도로 확장시킨 요하네스 구텐베르크의 이름에서 따온 것으로, 인터넷에 전자화된 문서(e-text)를 저장해 놓고 누구나 무료로 책을 받아 읽을 수 있는 가상 도서관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수많은 자원봉사자들이 인터넷을 이용해 기여하여 만들어지는 프로젝트로 수많은 고전의 원문이 모여 있다.2006년 3월 프로젝트 구텐베르크 발표에 따르면, 프로젝트는 18,000개 항목 이상의 전자문서를 보유하고 있으며, 매주 50여개의 새로운 전자책이 새롭게 등록되고 있다고 한다.프로젝트에 등록된 전자책은 대부분이 서구의 문학작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소설, 시, 단편소설, 드라마 등의 문학작품 외에 요리책, 사전류, 정기간행물이 포함되어 있다."@ko . "화학(化學, Chemistry)은 물질의 성질, 조성, 구조, 변화 및 그에 수반하는 에너지의 변화를 연구하는 자연과학의 한 분야이다. 물리학 역시도 물질을 다루는 학문이지만, 물리학이 원소와 화합물을 모두 포함한 물체의 운동과 에너지, 열적·전기적·광학적·기계적 속성을 다루고 이러한 현상으로부터 통일된 이론을 구축하려는 것과는 달리 화학에서는 물질 자체를 연구 대상으로 한다. 화학은 이미 존재하는 물질을 이용하여 특정한 목적에 맞는 새로운 물질을 합성하는 길을 제공하며, 이는 농작물의 증산, 질병의 치료 및 예방, 에너지 효율 증대, 환경오염 감소 등 여러 가지 이점을 제공한다."@ko . "12월 1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53번째(윤년일 경우 354번째) 날에 해당한다."@ko . "문학(文學)은 언어를 예술적 표현의 제재로 삼아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여, 인간과 사회를 진실되게 묘사하는 예술이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언어를 통해 인간의 삶을 미학적으로 형상화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문학은 원래 문예라고 부르는 것이 옳으며, 문학을 학문의 대상으로서 탐구하는 학문의 명칭 역시 문예학(Science of Literature, Literaturwissenschaft))이다. 문예학은 음악사학, 미술사학 등과 함께 예술학의 핵심분야로서 언어학, 역사학, 철학, 종교학과 함께 인문학의 하위범주에 포함된다. 문학은 크게 순수문학과 대중문학으로 구분된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접하는 고전과 같은 문학들이 순수문학이며, 대중문학은 상업성을 띠며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대중을 겨냥하여 그들의 통속적 흥미와 욕구를 채워주는 가벼운 문학을 말한다.일반적으로 문학의 정의는 텍스트들의 집합이다."@ko . "귄터 그라스 (Günter Grass, 1927년 10월 16일)는 독일의 소설가이자 극작가다."@ko . "위키(wiki, /wɪkiː/ 듣기 )는 웹 브라우저를 이용, 간단한 마크업 언어를 통해 쉽게 내용을 추가하고, 고치고 삭제할 수 있는 웹사이트를 말한다. 위키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며, 협업을 통해 운영된다.위키는 지식경영이나 기록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된다. 공동체용 웹사이트나 조직 내 인트라넷에 쓰이기도 한다.첫 위키 소프트웨어인 위키위키웹(WikiWikiWeb)을 만든 워드 커닝엄은 위키를 \"동작하는 가장 단순한 온라인 데이터베이스\"라고 설명했다. \"위키\"는 \"빠른\"을 뜻하는 하와이어 \"wiki\"(발음은 위티[ˈwiti]나 비티[ˈviti])에서 왔다."@ko . "수학(數學)은 양, 구조, 공간, 변화 등의 개념을 다루는 기초과학의 학문이다. 현대 수학은 형식 논리를 이용해 공리로 구성된 추상적 구조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수학은 그 구조와 발전 과정에서는 자연과학에 속하는 물리학을 비롯한 학문들과 깊은 연관을 맺고 있으나, 여느 과학의 분야들과는 달리 자연계에서 관측되지 않는 개념들에 대해서까지 이론을 일반화 및 추상화시킬 수 있다는 차이가 있다. 수학자들은 그러한 개념들에 대해 추측을 하고, 적절하게 선택된 정의와 공리로부터의 엄밀한 연역을 통해 추측들의 진위를 파악하려 한다.수학은 숫자 세기, 계산, 측정 및 물리적 대상의 모양과 움직임을 추상화하고 이에 논리적 추론을 적용하여 나타났다. 이런 기본 개념들은 고대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고대 인도, 고대 중국 및 고대 그리스의 수학책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유클리드의 원론에서는 엄밀한 논증이 발견된다."@ko . "아오조라 문고(靑空文庫, あおぞらぶんこ)는 ‘일본어판 구텐베르크 프로젝트’로 불리는 일본의 인터넷 전자도서관으로, 저작권이 풀린 문학작품을 수집, 전자문서화해서 인터넷에 공개하고 있다. 저자 사후 50년이 지난 메이지, 쇼와시대 초기의 일본 문학 작품이 그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일본어 외 문학작품의 일본어 번역작품도 다수 있다."@ko . "2002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ko . "데니스 매캘리스테어 리치(Dennis MacAlistair Ritchie) (1941년 9월 9일 ~ 2011년 10월 12일) ALTRAN, B언어, BCPL, C, Multics, 유닉스 등의 개발에 끼친 영향으로 유명한 전산학자이자 현대 컴퓨터의 선구자이다.미국의 뉴욕, 브롱스빌(Bronxville)에서 태어났으며. 하버드 대학교에서 물리학과 응용수학 학위를 얻었다(1967). 1968년부터 벨 연구소 컴퓨터 연구 센터에서 일했으며, 루슨트 테크놀로지스의 시스템 소프트웨어 연구부장으로 2007년도에 은퇴했다.미국시각으로 2011년 10월 12일에 사망하였다.켄 톰슨(Ken Thompson) 등과 함께 최초의 유닉스(Unix) 시스템을 개발했고, 1971년 최초의 〈Unix Programmer's Manual〉을 썼다. 또한 C 언어를 개발한 후 브라이언 커니핸과 함께 〈C 프로그래밍 언어〉(The C Programming Language)를 기술했다."@ko . "음계(音階)는 음악에서 음높이(pitch) 순서로 된 음의 집합을 말한다. 악곡을 주로 구성하는 음을 나타낸 것이며 음계의 종류에 따라 곡의 분위기가 달라진다.음계의 각각의 음에는 위치에 따라 도수가 붙는다."@ko . "이 문서는 나라 목록이며, 전 세계 206개 나라의 각 현황과 주권 승인 정보를 개요 형태로 나열하고 있다. 이 목록은 명료화를 위해 두 부분으로 나뉘어 있다. 첫 번째 부분은 바티칸 시국과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를 포함하여 국제 연합에 가입된 국제적인 승인을 받은 195개 나라를 나열하고 있다. 두 번째 부분은 일부 지역의 주권을 사실상 (de facto) 행사하고 있지만, 다른 나라의 국제적인 승인을 받지 않은 11개 나라를 나열하고 있다. 두 목록은 모두 가나다 순이다.일부 국가의 경우 국가로서의 자격에 논쟁의 여부가 있으며, 이때문에 이러한 목록을 엮는 것은 매우 어렵고 논란이 생길 수 있는 과정이다. 이 목록을 구성하고 있는 국가를 선정하는 기준에 대한 정보는 \"포함 기준\" 단락을 통해 설명하였다. 나라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는 \"국가\" 문서에서 설명하고 있다."@ko . "6월 3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1번째(윤년일 경우 182번째) 날에 해당한다. 이 날은 6월의 마지막날이다."@ko . "함석헌(咸錫憲, 1901년 3월 13일 용천 ~ 1989년 2월 4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종교인, 언론인, 출판인이며 기독교운동가, 시민사회운동가였다. 광복 이후에는 비폭력 인권 운동을 전개한 민권운동가이자 언론인, 재야운동가, 문필가이다. 1919년 3.1 운동에 참여했다가 퇴학 당한 후, 사무원과 소학교 교사 등을 전전하다가 1928년부터 1938년까지 오산학교의 교사를 역임했다. 이후 교육, 언론 활동 등에 종사하다가 해방 후, 1947년 월남하였다. 이후에는 성서 강해 등을 하다가 1956년부터는 장준하의 사상계에 참여하여 정치, 시사 등에 대한 평론 활동, 신앙 활동, 반독재 민주화 운동 등을 하였다. 그의 종교는 초기에는 일본 유학 중에 우치무라 간조의 영향을 받아 무교회주의자였다가 중기에는 퀘이커였으나 후기에는 특정 종교에 속하지 않게 된다. 평안북도 출신."@ko . "아미노산(amino acid)은 생물의 몸을 구성하는 단백질의 기본 구성단위이다. 단백질을 완전히 가수분해하면 암모니아와 아미노산이 생성되는데, 아미노산은 아미노기와 카복시기를 포함한 모든 분자를 지칭한다. 화학식은 NH2CHRnCOOH(단, n=1~20)이다.생화학에선 흔히 α-아미노산을 간단히 아미노산이라 부른다. α-아미노산은 아미노기와 카복시기가 하나의 탄소(α-탄소라 부른다.)에 붙어있다. 프롤린(proline)은 실제로는 아미노기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엄밀하게 말해서 아미노산이 아니라, '이미노산'(imino acid)이다. 그러나, 생화학적으로 다른 진짜 아미노산과 비슷한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아미노산으로 분류한다."@ko . "파이의 날은 원주율을 기념하기 위한 기념일이다. 파이의 날은 원주율의 근삿값 3.14을 기준으로 하여 3월 14일에 치러진다. 보통 3.14159에 맞추기 위해 오후 1시 59분에 기념하는데, 오후 1시 59분은 엄밀히 말하면 13시 59분이기 때문에 오전 1시 59분에 치러야 한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세계 각국의 수학과에서 기념행사를 연다.3월 14일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생일이기도 하다.이 날은 여러 방법으로 기념된다. 사람들이 모여서 원주율이 그들의 생활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 이야기하고 원주율이 없는 세상을 상상해 본다. 모임에서는 보통 파이를 먹는다. 또한 많은 행사에서 원주율 외우기 대회가 열린다."@ko . "벡터공간 혹은 선형공간는 선형대수학의 기본적인 개념이다. 이 개념은 기하학적 벡터의 집합을 일반화한 것으로, 현대 수학의 모든 분야에서 두루 사용된다."@ko . "물리 상수(物理常數, physical constant)는 물리학에 나오는 값이 변하지 않는 물리량을 말한다. 물리 상수는 실제적인 물리적 측정과는 관계없이 고정된 값을 갖는 수학 상수와 대비되어, 대부분이 그 값이 실험을 통한 측정을 통해 얻어진다.물리 상수들 중에 특히 유명한 것으로는 플랑크상수, 중력상수, 아보가드로 수 등이 있다. 물리 상수는 여러가지 양을 의미한다. 플랑크 길이는 자연의 기본적인 거리, 광속은 가능한 최고 속력, 미세구조상수는 차원이 없는 양으로 전자와 광자 사이의 상호작용의 정도를 각각 의미한다."@ko . "하인리히 뵐(Heinrich Böll 듣기 , 쾰른, 1917년 12월 21일 - 랑엔브로이히(Langenbroich) 1985년 7월 16일)은 독일의 소설가다."@ko . "펜로즈 삼각형(Penrose triangle 또는 Penrose tribar)는 불가능한 물체의 일종이다. 1934년 스웨덴의